Angular를 사용하면서 JSON으로 받은 데이터를 localStorage에 담을일이 생겼다. 처음에는 어떻게 해야하나 싶었는데 결국에는 JSON을 String으로 변환시킨 후에 나중에 사용할 때 파싱을 통해 JSON 데이터로 다시 변환시키면 된다. var testObject = { 'one': 1, 'two': 2, 'three': 3 }; // Put the object into storage , String 으로 데이터를 저장 localStorage.setItem('testObject', JSON.stringify(testObject)); // Retrieve the object from storage, 담겨져 있는 데이터 가져오기 const retrievedObject = localStorage..
html5에서는 좀 더 쉽고 간단한 저장소 제공을 위해 새로운 localStorage와 sessionStorage api를 제공한다. 이 둘의 가장 큰 차이점이라면 저장소로서의 기능은 대부분 동일하며 단지 sessionStorage의 경우 세션이 종료되면 저장된 데이터도 함께 사라진 다는 점이 다른 점이다. 그렇다면 이 메소드는 어떤 경우에 사용할 수 있을까? 쿠키, 서버저장소와 함께 서로의 장단점에 대하여 비교하며 알아보도록 하자. 쿠키의 경우 저장 가능한 공간의 크기가 가장 작고 하나의 텍스트 형태로 저장된다. 그렇기 때문에 비교적 간단한 텍스트 타입의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용이하다. 이런 값으로는 팝업의 이름을 예로 들 수 있다. 팝업의 경우 24시간 동안 동작하지 않도록... 즉 열지 않도록 설정하..
- Total
- Today
- Yesterday
- Spring Boot
- Java
- data gird component
- 파이썬
- 파이썬3
- data component module
- Python
- jQuery
- JavaScript
- mobx
- Spring
- 페이스북 로그인
- JSON
- Router
- facebook login
- react
- CSS
- Angular
- https://www.tistory.com/auth/logout/
- JPA
- python3
- data table component
- localStorage
- Redux
- data grid component
- angular router
- data component
- React-router
- MySQL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