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ct Native는 그리드 시스템에 flexbox를 이용하는데그 기본에 대해 공부하고 정리해본다. 물론 웹에서 지원하는 flexbox와는 약간 다르지만그 기본에 대해 공부하는 것이다. Flexbox 모델은 뷰포트(viewport) 및 엘리먼트 (elemnt) 크기가 동적이거나 알려지지(unknown) 않은 경우에도 문서 내의 엘리먼트간에 공간을 배치(layout), 정렬(align) 및 분산(distribute)하는 효율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Flexbox 모델을 사용하려면 부모 엘리먼트를 flex container (AKA flexible container)로 만들어야한다. Flexbox에서는 두가지 개념을 알면 좀 더 이해하기 쉽다. Flex container: {display: flex}를 설..
기존 CSS 문법에 SASS문법을 섞은 것이며, SASS 컴파일러로 그대로 컴파일 될 수 있다 기본문법 – 셀렉터 지정 및 속성 작성SCSS의 기본문법은 기본적으로 CSS 기본 문법을 그대로 적용하고, 여기에 SASS 식의 치환가능한 요소들을 추가할 수 있다. 기본룰은 다음과 같다. 기본틀은 CSS 문법과 동일하다. 셀렉터를 쓰고 { .. } 블럭안에 속성:속성값; 의 형태로 속성들을 정의할 수 있다. nested block을 적용할 수 있다. //을 이용해서 라인단위로 주석처리를 할 수 있다. 셀렉터 네스팅특정 선택자 내에는 속성 정의만 들어오는 것이 아니라, nested된 속성 정의 블럭이 들어올 수 있다..entry-content { p { font-size: 9.814rem; } }// compi..
- Total
- Today
- Yesterday
- jQuery
- facebook login
- Java
- data grid component
- CSS
- data table component
- data gird component
- react
- JPA
- 페이스북 로그인
- mobx
- python3
- Spring Boot
- 파이썬
- MySQL
- React-router
- JSON
- https://www.tistory.com/auth/logout/
- localStorage
- Router
- data component module
- Redux
- 파이썬3
- data component
- JavaScript
- Python
- angular router
- Angular
- Spring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